투자 24

2023년 6월 7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6/6(현지시간) 뉴욕증시 소폭 상승, 다우(+0.03%)/나스닥(+0.36%)/S&P500(+0.24%) FOMC 관망세, 경기 침체 우려 완화(+) 이날 뉴욕증시는 다음주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진 가운데, 美 경제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03%, 0.24%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36% 상승. 오는 13~14일로 예정된 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지는 모습. Fed 당국자들이 통화정책 발언을 삼가는 '블랙아웃' 기간에 돌입한 가운데, 최근 발표된 美 경제지표가 혼조된 양상을 보이면서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전망과 금..

2023년 6월 5일 증시 캘린더

美) 5월 ISM 비제조업지수(현지시간) - 5일(현지시간) 전미공급관리자협회(ISM)는 5월 비제조업(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를 발표함. ISM 비제조업 지수는 50을 넘으면 비제조업 경기의 확장을 의미하고 50에 미달하면 위축을 뜻함. - 한국시간 : 5일 오후 11시 애플, WWDC(세계개발자콘퍼런스) 개최(현지시간) - 애플은 현지시간으로 6월5일부터 9일까지 美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 애플파크에서 연례 개발자 행사인 '세계개발자콘퍼런스(WWDC) 2023'을 개최할 예정. - 애플은 이번 행사에서 전 세계개발자들을 초청해 아이폰과 아이패드, 맥, 애플워치 등 주요 제품에 대한 운영체제(iOS)의 다음 버전을 선보이거나 새로운 소프트웨어 기능을 소개할 예정. 특히, 이번 행사에서 혼합현실(..

2023년 6월 2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6/1(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47%)/나스닥(+1.28%)/S&P500(+0.99%) 부채한도 합의안 하원 통과(+), Fed 6월 금리 동결 기대감(+) 이날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하원을 통과했다는 소식에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완화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47%, 0.99%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8% 상승. 특히,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하원을 통과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 조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의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전일 밤 하원 본회의에서 찬성 314표, 반대 117표로 가결됐음. 아직 상원 통과와 대통령 ..

2023년 5월 31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30(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15%)/나스닥(+0.32%)/S&P500(+0.00%) 부채한도 잠정 합의(+), 엔비디아 강세 지속(+), 부채한도 법안 처리 불확실성(-) 이날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상향 이슈에 잠정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 엔비디아 강세 지속 속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0.32% 상승했으며, S&P500지수는 강보합 마감. 반면, 다우지수는 0.15% 하락. 전일 Memorial Day로 휴장했던 뉴욕증시는 주말 사이 전해진 정치권의 부채한도 상향 잠정 합의 소식에 투자 심리가 개선되는 모습. 조 바이든 美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주말 동안 부채한도 상향 문제에 잠정 합의했음. 백악관과 공화당 지도부는 2년간 부채..

※엘리어트 파동이론 - 피보나치수열과 황금 분할 비율※

피보나치 수열 (Fibonacci Summation Serires)이란?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2584, 4181, 6765 ... 의 규칙을 가진 수열.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토끼의 번식의 수에 대해 고찰을 하다가 연구한 수열. 아래의 5가지의 법칙을 따르며, 다양한 자연법칙의 현상을 해석하는 코드가 된다. 물론, 절대적으로 맞지는 않지만 대부분 맞아떨어지는 경향성을 갖는다. 1. 이어지는 두 숫자를 더해 나가면, 그 다음 숫자가 된다. eg) 1+1=2, 1+2=3, 2+3=5 ... 2. 어느 숫자 건 하나 건너 숫자로 나누면 몫은 2, 나머지는 나눈 숫자의 직전 숫자가 된다. eg) 5/2=2....

2023년 5월 22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19(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0.33%)/나스닥(-0.24%)/S&P500(-0.14%) 부채한도 협상 일시중단(-) 이날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협상이 일시 중단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3대 지수 모두 하락세를 기록.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33%, 0.14%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24% 하락. 부채한도 협상이 일시 중단됐다는 소식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전일 매카시 하원 의장이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 보인다"라며 이르면 다음 주에 부채한도 합의안이 의회 표결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이날 실무 협상에서 공화당 쪽 협상단이 회의장을 빠져나온 후 협상이 중단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부채한도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재부각됐음. 공화당 ..

2023년 05월 19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17(현지시간) 뉴욕증시 큰 폭 상승, 다우(+1.24%)/나스닥(+1.28%)/S&P500(+1.19%) 부채한도 협상 낙관론(+), 은행 리스크 완화(+) 이날 뉴욕증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부채한도 협상 타결을 낙관하면서 부채한도 협상 기대감이 커진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24%, 1.19%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28% 상승. 美 부채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커진 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 전일 바이든 美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을 비롯한 의회 지도부와의 부채한도 관련 2차 회동이 결론 없이 끝났지만,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회견을 통해..

2023년 5월 16일 해외증시

뉴욕 마감시황 5/15(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14%)/나스닥(+0.66%)/S&P500(+0.30%) 부채한도 협상 기대감(+), Fed 위원 매파적 발언(-) 이날 뉴욕증시는 16일로 예정된 부채한도 협상을 앞두고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14%, 0.30%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66% 상승. 지난 12일 예정됐던 바이든 美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을 비롯한 의회 지도부와의 부채한도 관련 2차 회동이 16일로 연기된 가운데, 부채한도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바이든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7일 일본으로 출국할 예정이며, 그 전에 부채한도 문제를 마무리 짓겠다는 의지를 보인 ..

2023년 5월 15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12(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0.03%)/나스닥(-0.36%)/S&P500(-0.16%) 인플레이션 우려(-),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된 데다 부채한도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03%, 0.16%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36% 하락. 최근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이날 발표된 미시건대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되는 모습. 미시건대에 따르면, 5월 미시건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중간값은 4...

보조지표 분석 : Stochastic+RSI 지표 기법

RSI 지표를 기반으로 스토스캐틱 지표를 추가한 보조지표를 이용한 매매 기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RSI는 14개의 봉에 대한 매도와 매수세간 상대적 강도를 백분율로 표기한 것으로 보통 50%를 기준으로 위로 올라가면 매수세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아래로 내려오면 매도세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70%를 초과하면 매수세가 강한 것으로 봅니다. 매도도 매수와 같이 30% 이하로 내려오면 매도세가 강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그러나 스토스캐틱은 단기선, 장기선이 표기되며, 과매도, 과매수 지점도 20% 80%로 RSI보다는 다소 좁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보통은 스토스캐틱과 RSI를 같이 사용하는데, 거의 흐름이 비슷하기도 하고 계산의 기준이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덜 민감하고 추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