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기법/보조지표 4

보조지표 분석 : Stochastic+RSI 지표 기법

RSI 지표를 기반으로 스토스캐틱 지표를 추가한 보조지표를 이용한 매매 기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RSI는 14개의 봉에 대한 매도와 매수세간 상대적 강도를 백분율로 표기한 것으로 보통 50%를 기준으로 위로 올라가면 매수세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아래로 내려오면 매도세가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그리고 70%를 초과하면 매수세가 강한 것으로 봅니다. 매도도 매수와 같이 30% 이하로 내려오면 매도세가 강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그러나 스토스캐틱은 단기선, 장기선이 표기되며, 과매도, 과매수 지점도 20% 80%로 RSI보다는 다소 좁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보통은 스토스캐틱과 RSI를 같이 사용하는데, 거의 흐름이 비슷하기도 하고 계산의 기준이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덜 민감하고 추세의..

보조지표 분석 : 이동평균선

차트를 분석할 때 반드시 이동평균선에 대한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동평균선은 주가의 방향과 변곡점을 쉽게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 이동평균선을 이용하면 매수 또는 매도 방향성을 분석할 수 있다. 2)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지지와 저항 분석이 가능하다. 3)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배열도 분석이 가능하다. 1.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이란 일정기간 동안의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인 주가이동평균을 차례로 연결해서 만든 선으로, 매일 계산된다. 주식시장에서 주가와 거래량 및 거래대금은 매일 매일 변하지만 특정기간을 놓고 보면 일정한 방향성을 지닌다. 이를 수치화한 것이 이동평균선으로 보통은 단기 (5일선/10일선/20일선), 중기 (60일선), 장기(120일) 이동평균선이 있다. 주가이동평균선은 ..

※ 보조지표 분석 : RSI ※

RSI (Relative Strength Index) 과매수, 과매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잘 쓰면 상당히 유용합니다. RSI의 역사가 어떻게 되네, 누가 개발했네 하는 건 알 필요도 없고 우리가 궁금해하는 것도 아닙니다. 우리가 돈 버는 거하고 상관이 있어야죠. 그러면 제일 먼저 알아야 하는 건 RSI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겠지요? RSI는 무엇인가? 진짜 쉽게 말하면 일정 기간 동안에 "상승한 날의 상승 정도를 다 합친 평균"이 "하락한 날의 하락 정도를 다 합친 평균" 보다 크면 RSI가 올라가고, 그 반대면 내려갑니다. 영웅문 글로벌 기준이긴 하지만, RSI 설정은 그냥 기술적 지표에 "RSI"라고 검색하면 위 사진처럼 바로 할 수 있습니다. 보면, RSI 차트는 위쪽에 선 하나, 아래쪽에 선 ..

※ 보조지표 분석 : MACD ※

위 사진은 MACD 지표에 대한 정리 자료이다. MACD는 RSI와 더불어 전세계 트레이더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기술적 지표이다. ​ 두개의 이동평균선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추세의 강도, 변곡점 및 타점을 도출할 수 있는 보조지표로 단기, 장기 이동평균선과 히스토리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 ​ 먼저 이 지표가 어떻게 산출되는지 아주 간략하게 알아보자. 우리가 평소에 사용하는 지표나 지수의 공식 및 산출법을 인지하는 것과 아예 모르고 활용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으므로 이처럼 깊은 이해도를 가지고 활용한다면 중간중간에 나오는 노이즈 처리도 쉽게 할수 있다. 하나도 어렵지 않으니 완벽하게는 아니더라도 대충이라도 정도껏 이해를 하고 넘어가는 것을 추천한다. ​ 두개의 이동평균선이 있다. 하나는 단기, 하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