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매기법/엘리엇 파동 4

※엘리어트 파동이론 - 피보나치수열과 황금 분할 비율※

피보나치 수열 (Fibonacci Summation Serires)이란?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233, 377, 610, 987, 1597, 2584, 4181, 6765 ... 의 규칙을 가진 수열.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토끼의 번식의 수에 대해 고찰을 하다가 연구한 수열. 아래의 5가지의 법칙을 따르며, 다양한 자연법칙의 현상을 해석하는 코드가 된다. 물론, 절대적으로 맞지는 않지만 대부분 맞아떨어지는 경향성을 갖는다. 1. 이어지는 두 숫자를 더해 나가면, 그 다음 숫자가 된다. eg) 1+1=2, 1+2=3, 2+3=5 ... 2. 어느 숫자 건 하나 건너 숫자로 나누면 몫은 2, 나머지는 나눈 숫자의 직전 숫자가 된다. eg) 5/2=2....

03. 엘리어트 파동이론 - 파동을 올바르게 매기는 방법

파동을 올바르게 매기는 방법에 대한 부분이며, 아래의 내용을 커버합니다. 1. 일반적인 원칙 2. 거래량에 따른 기준 3. 파동의 세분 이번 챕터는 다시 기본으로 돌아가는 차원에서라도 굉장히 중요하다. 특히나 거래량에 대한 본격적인 이야기가 처음 등장하므로,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가장 중요한 원칙 : 파동을 얼마나 정확히 매기느냐 하는 것 엘리어트 파동이론이 어려운 이유는, 그 파동을 매기는데 있어서 일관된 규칙 및 전지전능한 법칙이 없다는데 있다. 그러한 이유로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의거한 파동이 차트의 보조지표로써 자동으로 그려지는 서비스가 없기도 하다. 모르겠다.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기는.. 그것도 한참 전이었네.. 아무튼 그러한 기술력이면 이것도 가능할 것 같기도 하다. 이럴..

02. 엘리어트 파동이론 핵심 요약 정리본

절대 불가침의 법칙 내 스타일대로 딱 한장의 그림으로 요약해 봤다. 그리고 여기에 살을 붙여가면서 업데이트를 해보려 한다. 절대 불가침의 법칙 이 세가지 포인트를 가장 밑바탕에 두고 엘리엇 파동을 메겨나가야 하겠다. 1번, 2번 파동의 특징 1번 , 2번 파통의 특징 1번 파동의 구분 충격 파동은 무조건 5개의 세분화 파동으로 나뉠 수 있어야 한다. 즉, 1, 3, 5번 파동은 5개의 세분화 파동을 가진다. 1번 파동은 즉시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2번 파동을 확인하고 역으로 판별해야 쉽다. 1번 파동을 보조지표로 구분하는 방법 1번 파동 직전의 C 파동이 있는데, 이 C 파동의 막바지에 RSI가 30선 이하로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스토케스틱 K와 D가 15선 이하로 결정된다. 직전 C 파동의..

01. 엘리어트 파동이란 ?

엘리어트 파동이론(Elliot Wave Theory) ​주가의 움직임은 상승 5파와 하락3파의 연속적인 8개의 파동이 사이클을 이루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이론으로 1939년 엘리어트가 발표하였으며 그의 이름을 붙여서 유명해졌습니다. 엘리어트가 개발한 주가 변동 이론으로 주가의 변화는 대자연의 법칙에 따라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반복된다는 이론입니다. ​ 엘리어트 파동이론에 의하면 주가 변동은 상승 5파와 하락 3파로 움직이면서 끝없이 순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는 전제로 만들어진 이론입니다. - 상승 5파는 순서대로 1번에서 5번까지의 숫자 국면. - 하락 3파는 a, b, c의 문자로 표시되는 문자 국면 이러한 파동은 다시 세분화될수 있는데 충격파동과 조정파동으로 나눔으로서. 충격파동(Impulse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