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시황 및 이슈/해외 시황 10

2023년 6월 7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6/6(현지시간) 뉴욕증시 소폭 상승, 다우(+0.03%)/나스닥(+0.36%)/S&P500(+0.24%) FOMC 관망세, 경기 침체 우려 완화(+) 이날 뉴욕증시는 다음주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진 가운데, 美 경제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03%, 0.24%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36% 상승. 오는 13~14일로 예정된 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관망 심리가 커지는 모습. Fed 당국자들이 통화정책 발언을 삼가는 '블랙아웃' 기간에 돌입한 가운데, 최근 발표된 美 경제지표가 혼조된 양상을 보이면서 추가 인상이 필요하다는 전망과 금..

2023년 6월 5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6/2(현지시간) 뉴욕증시 큰 폭 상승, 다우(+2.12%)/나스닥(+1.07%)/S&P500(+1.45%) 디폴트 우려 해소(+), 고용지표 호조(+) 이날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하원에 이어 상원을 통과했다는 소식에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해소된데다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이면서 3대 지수 모두 큰 폭 상승. 다우지수가 2.12% 급등했으며,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1.45%, 1.07% 상승. 특히,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하원에 이어 상원을 통과하면서 증시에 호재로 작용. 조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의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지난 5월31일(현지시간) 밤 하원 본회의에서 찬성 314표, 반..

2023년 6월 2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6/1(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47%)/나스닥(+1.28%)/S&P500(+0.99%) 부채한도 합의안 하원 통과(+), Fed 6월 금리 동결 기대감(+) 이날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하원을 통과했다는 소식에 디폴트(채무불이행) 우려가 완화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47%, 0.99%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8% 상승. 특히,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하원을 통과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 조 바이든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의 부채한도 상향 합의안이 전일 밤 하원 본회의에서 찬성 314표, 반대 117표로 가결됐음. 아직 상원 통과와 대통령 ..

2023년 6월 1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31(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0.41%)/나스닥(-0.63%)/S&P500(-0.61%) 부채한도 표결 경계감(-), 中 경기 둔화 우려(-), 연준 위원 6월 금리 인상 중단 시사 발언(+)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 하원의 부채한도 합의안 표결을 앞둔 경계감 속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각각 0.41%, 0.61%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63% 하락. 전일 부채한도 합의안이 하원 운영위원회를 통과하면서 의회의 첫 관문을 넘어선 가운데, 이날 오후 하원 표결이 이뤄질 예정. 공화당 강경파들은 부채한도 합의안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으며, 케빈 매카시 美 하원 의장의 사퇴를 촉구하면서 법안이 하원을 통과할 수 있을지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음..

2023년 5월 31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30(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15%)/나스닥(+0.32%)/S&P500(+0.00%) 부채한도 잠정 합의(+), 엔비디아 강세 지속(+), 부채한도 법안 처리 불확실성(-) 이날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상향 이슈에 잠정 합의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혼조세로 장을 마감. 엔비디아 강세 지속 속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가 0.32% 상승했으며, S&P500지수는 강보합 마감. 반면, 다우지수는 0.15% 하락. 전일 Memorial Day로 휴장했던 뉴욕증시는 주말 사이 전해진 정치권의 부채한도 상향 잠정 합의 소식에 투자 심리가 개선되는 모습. 조 바이든 美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주말 동안 부채한도 상향 문제에 잠정 합의했음. 백악관과 공화당 지도부는 2년간 부채..

2023년 5월 23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22(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42%)/나스닥(+0.50%)/S&P500(+0.02%) 부채한도 재협상 주시 이날 뉴욕증시는 장 마감 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부채한도 협상을 재개하는 가운데 관망세가 짙어지며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가 0.42% 하락한 반면, 나스닥지수와 S&P500지수는 0.50%, 0.02% 상승. 아시아 순방 일정을 단축하고 돌아온 바이든 美 대통령은 이날 장 마감 이후인 오후 5시30분(동부시간) 공화당 소속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과 부채한도 협상을 재개할 예정. 매카시 하원 의장은 이날 오전 실무단 협의 이후 아직 합의안을 도출하지 못했다면서 하원에서 법안을 통과시킨 뒤 상원에서도 통과시키려면 이번 주에 ..

2023년 5월 22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19(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0.33%)/나스닥(-0.24%)/S&P500(-0.14%) 부채한도 협상 일시중단(-) 이날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협상이 일시 중단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3대 지수 모두 하락세를 기록.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33%, 0.14%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24% 하락. 부채한도 협상이 일시 중단됐다는 소식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전일 매카시 하원 의장이 "합의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 보인다"라며 이르면 다음 주에 부채한도 합의안이 의회 표결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이날 실무 협상에서 공화당 쪽 협상단이 회의장을 빠져나온 후 협상이 중단됐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부채한도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재부각됐음. 공화당 ..

2023년 05월 19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17(현지시간) 뉴욕증시 큰 폭 상승, 다우(+1.24%)/나스닥(+1.28%)/S&P500(+1.19%) 부채한도 협상 낙관론(+), 은행 리스크 완화(+) 이날 뉴욕증시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부채한도 협상 타결을 낙관하면서 부채한도 협상 기대감이 커진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24%, 1.19%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28% 상승. 美 부채협상에 대한 낙관론이 커진 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 전일 바이든 美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을 비롯한 의회 지도부와의 부채한도 관련 2차 회동이 결론 없이 끝났지만, 이날 바이든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차 일본으로 출국하기 전 기자회견을 통해..

2023년 5월 16일 해외증시

뉴욕 마감시황 5/15(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14%)/나스닥(+0.66%)/S&P500(+0.30%) 부채한도 협상 기대감(+), Fed 위원 매파적 발언(-) 이날 뉴욕증시는 16일로 예정된 부채한도 협상을 앞두고 기대감이 커지면서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14%, 0.30%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66% 상승. 지난 12일 예정됐던 바이든 美 대통령과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을 비롯한 의회 지도부와의 부채한도 관련 2차 회동이 16일로 연기된 가운데, 부채한도 협상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습. 바이든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17일 일본으로 출국할 예정이며, 그 전에 부채한도 문제를 마무리 짓겠다는 의지를 보인 ..

2023년 5월 15일 해외 증시 시황

뉴욕 마감시황 5/12(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0.03%)/나스닥(-0.36%)/S&P500(-0.16%) 인플레이션 우려(-), 부채한도 협상 불확실성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된 데다 부채한도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03%, 0.16%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0.36% 하락. 최근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지만, 이날 발표된 미시건대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치를 웃돌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재부각되는 모습. 미시건대에 따르면, 5월 미시건대 1년 기대인플레이션 중간값은 4...